본문 바로가기

식물보호산업기사53

식물보호산업기사 필답형 실기시험 요약(8) 71. 진단법 중에서 해부학적 진단방법 3가지를 쓰시오. - 현미경을 이용: 현미경을 통한 병원체의 유무 - 그람염색법: 그람양성을 통한 병원균 판별 - 침지법: 염색을 통한 관찰 - 초박절편법: 이병 조직을 얇게 잘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 면역전자현미경법: 혈청반응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72. 진단법 중에서 생물학적 진단방법 2가지를 적으시오. - 지표식물: 식물의 감수성을 이용 - 최아법: 싹을 틔워 병징을 발현, 발생 유무를 관찰 - 즙액접종법: 즙액접종 가능한 바이러스를 지표식물을 이용하여 확인 73. 병징 및 표징 현상을 각각 2가지씩 적으시오. - 병징: 변색, 비대 / 표징: 균사, 포자 * 진단에는 육안적 진단방법이 있으며 병징과 표징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1) 병징: 변색, 시들음,.. 2024. 3. 6.
식물보호산업기사 필답형 실기시험 요약(7) 61. 드라이파밍(dry farming)에 대해 쓰시오. - 수분을 절약하는 농법으로 비가 올 때마다 땅을 갈아서 빗물을 땅 속 깊이 저장하고 가뭄시에는 파종을 깊이하고 토양을 잘 진압하여 지하수의 모관상승을 좋게 함으로써 한발 적응성을 높이는 농법 62. 한해(旱害, 가뭄, 건조해)란? - 근계(뿌리) 발달 미약으로 수분 흡수 불충분에 따른 한해 유발. 토양의 수분이 부족하여 작물 생육장해, 위조, 고사의 피해를 입는 것을 말한다. * 위조: 식물체의 수분이 결핍하여 시들고 마르는 현상 * 고사: 나무나 풀 따위가 말라죽는 현상 * 한해(寒害): 추위로 입는 피해, 주로 농작물이 입는 피해 63. 한해 발생기구를 쓰시오. - 작물의 세포에 수분이 감소하면 수분이 제한인자가 되어 광합성이 감퇴되고 양분흡.. 2024. 3. 5.
식물보호산업기사 필답형 실기시험 요약(6) 51. PH에 따른 수종을 알아보자. - 산성토양(침엽수): 소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곰솔 - 중성토양: 피나무, 단풍나무, 참나무 - 염기성토양: 호두나무, 백합나무, 물푸레나무, 오리나무 52. 광관리에서 군락상태와 최적엽면적지수에 대해 쓰시오. - 군락상태: 포장에서 작물이 밀생하고 크게 자라며 잎이 서로 포개져서 많은 수의 잎이 직사광을 받지 못하고 그늘이 있는 상태 - 최적엽면적지수: 최적엽면적일 때의 엽면적지수, 군락의 엽면적을 토지면적의 배수치로 표시하는 경우 * 고립상태: 특정한 몇 개의 잎이나 한 개체가 고립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실험대상이 되는 각각의 잎이 직사광을 받는 경우. 생육 초기 여러 개체의 잎들이 중첩되기 전 상태. 고립상태에서의 광포화점은 조사광.. 2024. 2. 29.
식물보호산업기사 필답형 실기시험 요약(5) 41. 작부체계란? - 일정한 포장에 몇 종류의 작물을 해마다 바꾸어 재배(윤작, 다모작, 자유작) - 같은 해에 여러 작물을 조합 배열하여 함께 재배(간작, 혼작, 교호작, 주위작) 42. 작부체계의 변천 - 대전법(화전) * 대전법은 개간한 토지에서 몇 해 동안 작물을 연속적으로 재배하고 그 후 지력이 소모되고 잡초 발생이 증가하면 경지를 떠나 다른 토지를 개간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방법으로 화전은 가장 원시적인 대전법이다. - 주곡식 대전법(정착농업-곡식재배) * 주곡식 대전법은 정착농업을 하면서 초지와 경지 전부를 주곡을 재배하는 작부방식이다. - 휴한농업(유럽 3포식농업) - 윤작(순 3포식, 개량 3포식, 노포크식) * 윤작은 동일한 재배포장에서 동일한 작물을 연이어 재배하지 아니하고, 서로.. 2024. 2. 27.
식물보호산업기사 필답형 실기시험 요약(4) 31. 방제의 방법 구분하기. - 생태적(경종적), 물리적/기계적, 화학적, 생물적 방제 32. 생태적(경종적) 방제 방법 적용하기 - 주로 발생하는 병해충, 잡초의 생리/생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방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 동일한 작물의 연속재배(연작)를 피하고 윤작 및 답전윤환을 실시한다. - 저항성 품종을 선택할 수 있다. - 주위에 병해충의 중간기주가 될 수 있는 식물을 파악하고 제거할 수 있다. 예시) 배나무, 사과나무의 '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주 향나무 제거 33. 물리적/기계적 방제 방법 적용하기. - 인위적인 열 또는 태양열에 의한 토양소독을 실시할 수 있다.(물리적) - 유아등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기계적) 34. 화학적 방제 방법 적용하기. - 기주 및 적용대상(병.. 2024. 2. 24.
식물보호산업기사 필답형 실기시험 요약(3) 21. 생육형태의 조절(1문제 출제) - 가지치기의 종류 * 정지(가지런할 정, 가지 지): 수관의 골격을 구성하는 줄기 및 가지 등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형을 조정하는 것 - 입목의 정지 (1) 원추형(주간형, 폐심형): 수형의 모양이 원추형인 것 -> 왜성사과나무, 양앵두나무 (2) 배상형(개심형): 짧은 원줄기 상에 3~4개의 원가지를 발달시켜 수형이 술잔모양으로 되게하는 정리법 -> 복숭아나무 (3) 개심자연형: 배상형의 단점을 개선한 수형으로 짧은 원줄기에 2~4개의 원가지를 배치하되 원가지 간 15cm 정도의 간격을 두어 바퀴살가지가 되는 것을 피한 것 -> 복숭아나무, 감귤나무, 배나무 (4) 변칙주간형(지연개심형): 처음에는 수년간 원추형으로 기르다 원줄기의 선단을 잘라내 배심형처럼 원가.. 2024.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