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49

봄을 알리는 꽃나무 수사해당(국가표준식물목록 정명 서부해당)은 현재 우리나라 조경수 시장에서 가장 으뜸으로 치는 꽃사과 종류로 여겨지고 그에 따라 가격 또한 가장 비싸게 책정되어 있다. 수사해당(Malus halliana Koenne)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서부해당으로 국명이 표기된다. 중국꽃사과 나무를 해당이라 하는데, 수사해당(垂絲海棠)은 예전 당나라 시대부터 꽃사과나무 중 가장 아름다운 꽃으로 여겨졌다. 양귀비의 미모와 비교되면서 수사해당이 미인의 잠자는 모습, 또는 요염의 상징이었다. 이는 수사해당의 특징인 꽃자루가 길어서 아래로 쳐지며 꽃이 피는 특성이 묘사된 거라 유추된다. 일본에서도 화해당(花海棠)으로 불리며 가장 아름다운 꽃사과나무로 통한다. 수사해당의 특징은 붉은색을 띠는 꽃봉오리가 개화하며 겉은 붉은색과.. 2025. 4. 1.
나무 옮겨 심는 방법 수목을 옮겨 심을 때는 생육 습성과 토질, 수분의 상태, 뿌리의 발근, 기후 등을 고려하여 가장 좋은 때에 옮겨 심는다. 침엽수의 경우 겨울식재는 추위로 인한 동해를 입기 쉬워 이른 봄이나 새싹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3월~4월이 적합하다. 활엽수는 잎이 지고 후면기에 접어드는 시기인 늦가을이 적기이지만 추위에 약하고 새싹이 늦게 나는 배롱나무, 목련, 석류나무, 능소화 등은 봄에 심어 피해가 나지 않도록 한다. 심식으로 고사가 되지 않도록 뿌리분 높이에 맞춰 심고, 깊게 심지 않도록 주의한다. 식재작업의 순서는 수목반입, 미적균형을 고려하여 배식순서를 결정하고, 뿌리 분 크기의 1.5배 이상으로 식재 구덩이를 파고 불순물을 제거하고 양토질 흙과 유기질비료를 섞어 구덩이 깊이의 1/3 정도로 넣는다. 다음으.. 2025. 3. 11.
논토양과 밭토양 특징 알아보기 밭토양은 표면이 항상 대기와 접촉하고 있어 산화상태에 있고, 논토양은 벼를 재배하는 동안 담수상태에 있어 산소의 공급이 적으며,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산소를 소비하므로 환원상태가 조장된다. 따라서 논과 밭 사이에는 성분이나 이온의 화학적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논에서도 유기물의 양이 줄어들고 온도가 낮아지면 산화상태가 발달한다. 논토양과 밭토양의 특색 및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첫째 양분의 존재형태의 차이가 있다. 밭토양에서는 호기성 균의 산화작용으로 암모니아는 질산으로 된다. 논토양에서는 혐기성 균의 활동으로 질산은 질산가스로 된다. 둘째 토양의 색깔로 논토양은 청회색이나 회색을 띠고 밭토양은 황갈색이나 적갈색을 띤다. 셋째 산화물과 환원물의 존재로 논토양에서는 환원물이 존재하나 밭토양에서는 .. 2025. 2. 24.
습답 중점토답 사력질답 퇴화염토답 알아보기 논토양의 적정 투수량은 1일 15~25mm라고 하며 증발산까지 합친 적정 감수량은 1일 20~30mm라고 한다. 습답은 지하수위가 높고 1년 중 건조하지 않으며 침투되는 수분의 양이 적어서 유기물 분해도 적다. 습답에는 미숙유기물이 집적되는데 환원상태이므로 유기물이 혐기적으로 분해하여 유기산을 생성하나 투수가 적으므로 작토중에 유기산이 집적되어 뿌리의 생장과 흡수작용에 장해를 준다. 그리고 한여름 고온기에는 유기물 분해가 왕성하여 심한 환원상태를 이루고 황화수소 등의 유해한 환원성 물질이 생성, 집적되어 뿌리가 상한다. 또한 지력질소가 주로 지온상승 효과로 공급되므로 벼는 생육후기에 질소과다가 되어 병해, 도복 등을 유발한다. 이상과 같은 원인에 의하여 습답에서도 추락현상이 유발된다. 그러나 유기물 과다.. 2024. 2. 10.
노후답과 간척지답 알아보기 Fe, Mn, K, Ca, Mg, Si, P 등이 작토에서 용탈되어 결핍된 논토양을 노후답이라고 하며, 특수성분결핍토나 퇴화염토 등은 노후답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담수조건에서 작토의 환원층에서는 철분, 망간이 환원되어 녹기 쉬운 형태로 되는데 이들이 침투수를 따라 내려가 심토의 산화층에 도달하면 다시 산화상태가 되어 축적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논의 작토층에는 철, 망간 그 밖의 성분이 점차 결핍되어 가는데 이를 논토양의 노후화라고 한다. 특히 토양모재가 철, 마그네슘 등의 함량이 적고 투수가 잘되는 특성을 지닌 경우 작토에서 철 등의 용탈이 일어나면 철의 심한 부족이 나타나는 노후답이 된다. 담수조건에서 작토의 환원층에서는 황산염이 환원되어 황화수소가 생성되는데 여름철 유기물 분해가 왕성할 때 .. 2024. 2. 9.
논토양의 일반특성 알아보기 담수된 논토양이라도 산소가 함유된 수분의 침투에 따라 어느 정도의 산소는 공급된다. 논물에는 대기 중 산소와 조류나 잡초 등의 광합성으로 배출된 산소가 용존되어 있다. 담수 후 유기물 분해가 왕성할 때에는 미생물이 소비하는 산소의 양이 논물에서 공급되는 산소보다 훨씬 많아서 논토양은 전층이 환원상태가 된다. 그러나 시일이 경과하여 유기물 분해가 진전되고 토양중에 분해되기 쉬운 유기물이 줄어들면 토양의 상층부에서는 논물에서 공급되는 산소가 미생물이 소비하는 산소의 양보다 우세하게 된다. 그리하여 표층 수mm 에서 1~2cm의 층은 산화제2철로 적갈색을 띤 산화층이 되고 그 이하의 작토층은 산화제1철로 청회색을 띤 환원층이 된다. 그리고 심토는 유기물이 극히 적어서 산화층을 형성한다. 이를 논토양의 토층분화.. 2024.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