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우리는 프란시스코 고야(1746~1828)의 <1808년 5월 3일(El Tres de Mayo de 1808, 1814)>에서 전쟁의 공포와 잔혹함을 누구보다 공감할 수 있다. 흰색 셔츠를 입은 남자는 무엇을 잘못해서 무자비한 총구들을 마주해야 하는가!
프란시스코 고야는 스페인의 대표적인 화가이자 판화가로, 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로 이행하는 시기에 독창적인 작품을 남겼다. 그는 왕실 화가로서 귀족과 왕족의 초상화를 제작했지만, 점차 사회적 불평등과 인간의 어두운 본성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특히, 1808년 스페인 독립전쟁 이후 그의 화풍은 더욱 어두워지며 전쟁의 참혹함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데 집중했다. 그는 정치적 혼란과 인간의 고통을 예술로 기록하며 기존의 이상화된 회화에서 벗어나 사실주의적이고 감정이 강하게 드러나는 표현 방식을 도입했다. 또한, 청각을 잃고 고립된 노년기에는 "흑색화" 시리즈를 통해 인간 존재의 불안과 공포를 극단적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고야의 작품 세계는 후대의 사실주의와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단순한 궁정화가가 아닌 사회적 비판 의식을 가진 혁신적인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1808년 5월 3일>은 스페인 독립전쟁 중 프랑스군에 의해 학살당한 마드리드 시민들의 참혹한 순간을 포착한 작품이다. 1808년, 나폴레옹의 프랑스군이 스페인을 점령하고 그의 형 조제프 보나파르트를 왕으로 세우자, 이에 저항하는 시민들이 5월 2일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반란은 프랑스군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실패했고, 보복으로 수많은 시민들이 다음 날 새벽 처형당했다. 고야는 이 처형 장면을 극적인 구도와 명암 대비를 활용해 강렬한 감정을 전달했다. 화면 왼쪽에는 처형을 기다리는 시민들이 있으며, 특히 하얀 셔츠를 입은 남성이 두 팔을 벌리고 절망과 공포 속에서도 저항하는 모습을 보인다. 오른쪽에는 얼굴이 보이지 않는 프랑스군이 일렬로 정렬하여 총을 겨누고 있으며, 이미 총살당한 희생자들이 바닥에 쓰러져 있다. 고야는 빛과 어둠을 이용해 강한 대비를 주었으며, 이를 통해 전쟁의 비극성과 무자비함을 더욱 강조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역사화가 아니라, 전쟁의 잔혹성과 억압받는 민중의 고통을 기록한 강력한 반전(反戰) 메시지를 담고 있다. 당시 유럽의 역사화들은 주로 영웅적이고 이상화된 전쟁 장면을 그리는 경우가 많았으나, 고야는 오히려 전쟁의 현실적인 참상을 적나라하게 표현했다. <1808년 5월 3일>은 공포와 희생을 조명하며, 전쟁의 참혹함을 고발하는 최초의 현대적 반전 회화로 평가받는다. 또한, 극적인 감정 표현과 사실적인 묘사는 이후 사실주의, 인상주의뿐만 아니라 현대 다큐멘터리 사진과 반전 미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고야는 예술을 통해 단순한 미적 탐구를 넘어 시대적 사건을 기록하고, 권력과 폭력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집중했다. 현재 이 작품은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미술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여자는 생명을 주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문화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싱어 사전트 〈마담 X의 초상화〉 (0) | 2025.03.26 |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모나리자〉 (0) | 2025.03.24 |
빈센트 반 고흐 〈붉은 포도밭〉 (0) | 2025.03.22 |
빈센트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 (0) | 2025.03.21 |
프라 안젤리코 〈수태고지〉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