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98

논토양의 일반특성 알아보기 담수된 논토양이라도 산소가 함유된 수분의 침투에 따라 어느 정도의 산소는 공급된다. 논물에는 대기 중 산소와 조류나 잡초 등의 광합성으로 배출된 산소가 용존되어 있다. 담수 후 유기물 분해가 왕성할 때에는 미생물이 소비하는 산소의 양이 논물에서 공급되는 산소보다 훨씬 많아서 논토양은 전층이 환원상태가 된다. 그러나 시일이 경과하여 유기물 분해가 진전되고 토양중에 분해되기 쉬운 유기물이 줄어들면 토양의 상층부에서는 논물에서 공급되는 산소가 미생물이 소비하는 산소의 양보다 우세하게 된다. 그리하여 표층 수mm 에서 1~2cm의 층은 산화제2철로 적갈색을 띤 산화층이 되고 그 이하의 작토층은 산화제1철로 청회색을 띤 환원층이 된다. 그리고 심토는 유기물이 극히 적어서 산화층을 형성한다. 이를 논토양의 토층분화.. 2024. 2. 8.
개간지와 사구지 알아보기 새로 개간한 토양은 대체로 산성이며 치환성 염기가 적고 토양구조가 불량하면 인산을 비롯한 비료성분도 적어서 토양의 비옥도가 낮다. 따라서 산성토양의 개선책과 같은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개간지는 경사진 곳에 많으므로 토양보호에 유의해야 한다. 사구지는 점토와 부식의 함량이 극히 적고 수분과 양분이 부족하며 풍식을 받기 쉽다. 따라서 작물재배에 극히 부적당하다. 그러나 지하에 중점토, 비닐, 아스팔트 등을 깔고 누수를 방지한 다음 관개, 시비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밖에 점적관개 시스템을 설치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도 있는데 지하에 비닐파이프를 설치하고 양분, 수분을 파이프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시설재배에서 널리 이용하는 방식이다. 사구지 토양을 개량하려면 방풍시설과.. 2024. 2. 7.
토양반응과 산성토양 알아보기 토양의 반응은 토양용액중의 수소이온농도와 수산이온농도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며 보통 pH로 반응표시를 한다. 물은 적으나마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으로 해리한다. 순수한 물이 해리할 때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은 같고 이 상태가 중성이다. pH는 1~14의 수치로 표시되는데 7이 중성이고 7 이하가 산성이며 7 이상이 알칼리성이다. 토양중의 작물양분의 가급도는 토양의 pH에 따라 다르며 중성~미산성에서 가장 높다. 강산성이 되면 P, Ca, Mg, B, Mo 등의 가급도가 감소되어 작물생육에 불리하고 Al, Cu, Zn, Mn 등은 용해도가 증대하여 그 독성 때문에 작물생육이 저해된다. 강알칼리성이 되면 N, B, Fe, Mn 등의 용해도가 감소해서 작물생육에 불리하다. 그러나 B는 pH 8.5 이상에는 용해도가 커.. 2024. 2. 5.
토양공기 알아보기 토양공기의 용적은 전 공극용적에서 토양수분의 용적을 감한 것인데 토양중에서 공기로 차 있는 공극량을 토양의 용기량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모관공극에는 수분이 차 있고 비모관공극에는 공기가 차 있으므로 용기량은 비모관공극량과 비슷하다. 따라서 토양의 전 공극량이 증대하더라도 비모관공극량이 증대하지 않으면 용기량은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토양수분 함량이 최대용수량에 도달했을 때의 용기량을 최소용기량이라 하고 풍건상태의 용기량을 최대용기량이라고 한다. 토양의 용기량은 보통 토양의 용적에 대한 공기로 차 있는 공극용적의 비율로 표시한다. 토양의 용기량이 증대하면 처음에는 작물생육도 촉진되나 어느 한계를 넘으면 오히려 생육이 나빠진다. 따라서 최적용기량을 찾게 되는데 작물의 최적용기량은 대체로 10~25% 라고 .. 2024. 2. 2.
토양수분 알아보기 토양수분은 작물의 생육에 불가결한 요소이다. 여기에서는 토양수분의 기본적 사항만 알아보고 자세한 내용은 수분 파트에서 알아보겠다. 토양 또는 식물체 내의 수분상태를 수분퍼텐셜이라고 한다. 토양중에는 수분퍼텐셜이 높고 낮은 지점이 산재하여 수분의 공간분포에 편차가 존재하고 물은 이 편차에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토양수분이 식물에 흡수되어 증산작용을 통하여 대기로 나가는 과정은 수분퍼텐셜의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본다. 토양수분의 함량을 건토에 대한 수분의 함량비로 표시하며 토양의 절대수분함량이 표시된다. 그러나 이것은 작물의 흡수력과 직결된 표시가 되지 못하므로 직결된 척도로 표시할 때에는 보통 토양수분장력을 사용한다. 이것은 임의의 수분함량의 토양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단위면적당 힘이.. 2024. 1. 31.
토양유기물 알아보기 토양중의 유기물은 지력을 배양하는데 극히 중요하다. 토양중의 유기물 즉 동물과 식물의 잔재는 미생물작용이나 화학작용을 받아서 분해된다. 분해작용을 받아서 유기물의 원형을 잃은 암갈색에서 흑색의 부분을 특히 부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토양유기물 전체를 부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토양유기물의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유기물이 분해될 때 여러가지 산을 생성하여 암석의 분해를 촉진한다. 유기물이 분해되어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다량원소와 망간, 붕소, 구리, 아연 등의 미량원소를 공급한다. 유기물이 분해될 때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작물 주변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여서 광합성을 촉진한다. 유기물이 분해될 때에는 호르몬, 핵산물질 등의 생장촉진물질을 생성한다.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기는 부식.. 2024.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