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학64 낙엽교목 정원수 알아보기 가을에 잎을 떨구는 정원수 중 높이가 4~5m 이상 자라는 교목들은 양분을 듬뿍 축적하고 있는 휴면기간 즉 겨울이 가치치기의 적기이다. 노란색 꽃과 붉은색 열매의 관상수 산수유는 중부 이남 민가에서 열매를 얻기 위해 심어 기른다. 생강나무 꽃과 비슷한데 생강나무 꽃에 비해 작은 꽃자루가 길고 수피가 벗겨지는 점이 다르다. 3~4월 가지 끝에 노란색 꽃이 잎보다 먼저 핀다. 열매를 간, 신장, 빈뇨, 정력 증강에 약용한다.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공해에 약하지만 도시공원의 도로를 접하지 않은 안쪽에서는 양호한 성장을 보인다. 주택, 펜션, 한옥 정원의 독립수로 좋다. 아파트, 도시공원의 안쪽에 중심수나 산책로의 가로수로 식재한다. 식재 간격은 5m 이상 간격을 유지한다. 우리나라 봄 정원의 대표격.. 2023. 12. 25. 풍치수와 가로수 알아보기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시원스런 품격을 유지해주는 풍치수와 공해와 병충해에 비교적 강한 가로수에 대해 알아본다. 수피가 아름다운 고산 풍치수 자작나무는 남한에서 자라는 것은 모두 심어 기르는 것이며 북한 함경도 지방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흰 수피가 아름다워 '백화'라고도 한다. 암수한그루로 4~5월 잎이 나면서 꽃이 함께 핀다. 수피는 광택이 나는 흰색이며 종이처럼 얇게 벗겨진다. 목재로 가구를 만든다. 수피를 항균, 항염, 항암에 약용한다. 자작나무 수액은 중부지방 기준 4월초에 받을 수 있다. 사질토양에서 잘 자라지만 척박지에서도 양호하고 수분은 보통으로 공급한다. 공해에 약하지만 도시공원 안쪽에서의 성장은 양호한 편이다. 내습성이 약하나 물에 직접 닿지 않는 한 강변에도 많이 식재한다. 도시공원, 아.. 2023. 12. 24. 작물의 분류 인간의 의식주 재료생산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재배식물은 같은 종이라도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식물의 종류를 학문적 체계로 분류한 것은 린네(Linne)의 이명법이다. 이명법은 오늘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학명이다. 재배식물은 식물분류학적 분류, 농업상 용도에 의한 분류, 생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 재배이용에 의한 분류로 구분한다. 식물분류학적 분류로 작물의 학명도 식물의 명명법인 이명법이 이용된다. 이명법은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가 1753년에 출판한 [식물의 종]에서 제창한 것으로 식물의 두가지 이름, 즉 속과 종의 이름을 붙여 명명하는 것이다. 모든 식물을 단지 2개의 단어로 나타내는 이명법이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져 현재 국제식물명명규약에 의해 운용되고 있다. 학명은 이명법으로.. 2023. 12. 19. 재배식물의 기원과 발달 작물재배의 시작은 농업의 시작이고 문명의 발생과 관계가 있다. 작물이란 수확하기 위해 재배하는 모든 식물을 말하며 인류와 공생관계에 있는 식물이다. 인간은 작물을 재배하여 생활상의 의식주에 필요한 재료를 얻는다. 작물은 긴세월 인간의 수요에 맞추어 발달했기 때문에 특별한 보호를 하고 가꾸어야 재배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작물은 야생식물로부터 분화하고 발달되었으며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아 재배대상이 되는 식물이다. 20세기 이후 유전과 육종의 원리가 규명되면서 작물의 분화와 발달이 가속화되었다. 특히 작물의 변화는 유전적 변이, 도태와 적응, 고립의 단계를 거친다. 작물이 최초로 발생한 지역을 그 작물의 원산지라고 하며 원산지로부터 다른 지역에 전파되어 간 과정을 지리적 기원이라 한다. 작물의 지리적 기원을.. 2023. 12. 16. 이전 1 ···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