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그늘에서 잘 자라는 음지식물

by 오썸70 2025. 5. 16.
반응형

정원을 가꾸다 보면 큰나무에, 건물에 가려 그늘진 곳이 생기곤 한다. 그런 곳에 나무나 관목을 심을 경우 꽃이 적게 피거나, 본연의 색이 아닌 ‘묘한’ 색깔로 꽃이 피어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그늘에 심기 적당한, 아니 오히려 그늘에서 더 반짝반짝 빛나는 휴케라, 호스타, 브루네라, 풀모나리아, 개고사리, 아스틸베 음지식물 6종을 소개한다.

1. ‘색채놀이’ 휴케라(Heuchera)
휴케라는 육종이 활발한 식물로, 티아렐라(Tiarella), 휴케렐라(Heucherella)까지 다양한 속의 품종으로 유통되고 있다. 잎의 색감이 형형색색 다양해 그늘정원에 연출하기에도 매우 좋고, 올망졸망 꽃도 귀엽게 핀다. 여기에서 잘 자라는 예쁜 휴케라 고르는 팁을 드리자면, 휴케라는 크게 보면 보라색, 붉은색 같이 짙은 색감의 품종이 훨씬 햇볕에도 강하다. 노랑색 같이 연한 색감의 휴케라는 강한 햇빛에서는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아가 품종별로 키가 크게 자라는지 작게 자라는지, 습기에 강한지 약한지, 조경용으로적합한지 확인 후 우리 정원 환경에 맞는 품종을 구입하자. 휴케라로 그늘정원에 색감을 더해보자.


2. ‘그늘 속에서 빛이 나는’ 호스타(Hosta)
그늘정원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식물이다. 더운 여름철 시원시원한 호스타 잎을 보고 있으면 더위가 사라지는 듯하다. 우리에게 예전부터 있던 옥잠화, 비비추가 친숙할 수 있지만, 호스타라는 학명으로 셀 수 없을 만큼 품종들이 육종, 유통되고 있다. 잎의 크기, 자라짐새에 따라 대형·중형·소형종으로 나뉜다. 잎은 주로 초록색, 은청색, 노란색 계열의 색감이 다양하게 혼합되고, 그림을 그려 놓은 듯 잎이 물감을 한방울 떨어뜨려 놓은 듯 품종마다, 다양한 색을 보여주며 그늘정원에 빛을 밝혀준다.


3. ‘그늘 속의 은하수’ 브루네라(Brunnera)
최근에 가드너들 사이에서 핫한 식물 하나를 고르라 하면 브루네라를 빼놓을 수 없다. 커다랗고 시원한 잎이 얼핏 보면 호스타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녹색의 잎맥과 은색 반짝이를 코팅해 놓은 듯한 잎을 보면 고급스러운 느낌이다. 실내에서만 월동하는 관엽식물처럼 잎이 아름답지만, 영하 30도까지 견디는 아주 강한 식물이다. 보통의 야생 자연환경에서 은빛이 도는 식물은 대개 양지에서 자라고 건조에는 강한지만 습에는 약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브루네라는 보통의 은빛 식물들에 비해 음지에서도, 습한 곳에서도 잘 견디는 특성이 있다. 게다가 물망초처럼 생긴 푸른색 꽃은 이른 봄부터 늦봄까지 오랜 기간 개화한다. 그늘에도 강하고 도 예쁘고, 은색의 고급스러운 잎까지 가진 팔방미인 식물로 브루네라는 사랑받는 식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4. ‘반전매력’ 풀모나리아(Pulmonaria)
기단한 초록색 잎에 하얀색 땡땡이, 또는 무늬가 있는 이국적인 잎이 아름다운 풀모나리아는 가드너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식물이다. 풀나리아는 흰가루병 등 곰팡이성 병에 강하고, 추위과 습, 음지에서도 건강하게 자란다. 강인함과 아름다운 꽃으로 정원생활에 기쁨을 주는 품종이다.


5. ‘메탈릭한 색감’ 개고사리(Athyrium)
산속 그늘진 곳의 고사리 자생지를 가보면 태초의 원시적인 자연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느낌의 정원을 조성할 때 고사리류가 주로 사용되면서 고사리 품종 또한 진화하고 있다. 개고사리 '버건디 레이스' 품종은 메탈릭 버건디 색상의 실버의 잎으로, 개고사리 ‘퓨터 레이스’ 품종은 은빛이 도는 메탈릭한 색상의 잎으로 색다른 느낌의 정원으로 연출할 수 있다. 두 품종 모두 10cm 포트 모종으로 구입한 첫 해에는 정상적인 색감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지만 식재 2년 차부터는 본연의 색상이 발현된다.


6. ‘화려한 여름’ 아스틸베(Astilbe)
여름꽃 횃불 모양의 원추화서에 화려한 색감으로 그늘을 밝히는 아스틸베. 습한 곳에서도 잘 견디고 절화로도 많이 사용된다. 꽃이 귀한 시기인 여름 내내 오랜 기간 꽃을 피우고 말린 꽃 형태로 유지해도 좋다. 기르기 쉽고 매년 아낌없이 꽃을 보여주는 우리집 정원의 효자식물이다.




출처: GARDENING(2025년 4월호) 유화준 '그늘'이어도 괜찮아, 음지식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