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연말정산 정책, 무엇이 사실이고 무엇이 오해인가요?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는 신용카드 소득공제입니다. 그런데 최근 온라인상에서 "이재명 정부가 신용카드 소득공제를 폐지하려 한다"는 오해가 퍼지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과연 이 주장은 사실일까요?
정답부터 말씀드리자면, 신용카드 공제 폐지설은 사실이 아닙니다. 오히려 정부는 지역화폐 공제를 확대하고, 다자녀 가구에 유리한 연말정산 개편안을 검토 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혼선을 줄이고, 이재명 정부가 실제 추진 중인 연말정산 정책의 핵심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오해 1: “카드 소득공제를 없앤다?”
많은 분들이 걱정하는 카드 소득공제 폐지설,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기획재정부와 여당은 기존의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를 유지하고, 오히려 일몰 기한을 연장하거나 항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검토 중입니다.
- 현재 신용카드 공제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용카드: 15%
체크카드/현금영수증: 30%
전통시장·대중교통비: 40%
연간 공제한도: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300만 원 (초과 시 250만 원)
즉, 폐지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되고 있으며, 개선이 논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실제 추진 중인 주요 변화 포인트
1. 지역화폐 소득공제 최대 80%로 상향 검토
정부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을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제율을 기존 30% → 최대 80%까지 인상하고, 연간 공제한도도 100만 원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준비 중입니다.
이는 소상공인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함께 도모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2. 다자녀 가구 대상 카드 공제율·한도 확대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자녀 수에 따라 카드 공제율을 최대 20%p까지 추가하고,
공제 한도도 자녀 수에 따라 차등 확대하는 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예: 자녀 3명 → 기본 공제율 15% + 추가 15% = 총 30% 공제 가능!
🔍 연말정산 제도 개편 방향 한눈에 보기
항목 현행 제도 개편 검토 내용
신용카드 공제율 15% 유지, 일몰 연장 가능성
지역화폐 공제율 30% 최대 80%까지 상향 검토
공제 한도 기본 250~300만 원 자녀 수 따라 최대 100만 원 추가
다자녀 우대 없음 자녀당 +5%p, 최대 20%p 가산
정리하며: 정책은 “폐지”가 아닌 “강화” 방향입니다
결론적으로, 이재명 정부의 연말정산 정책은 중산층과 서민, 다자녀 가구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불확실한 정보에 흔들리기보다는, 실제 정부·국회의 논의 내용을 정확히 알고 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연말정산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지역화폐와 체크카드 사용, 그리고 가족 구성원 수에 따라 전략을 세워서 13월의 월급을 두둑히 챙기십시오.
'신변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매장 알아보기 (1) | 2025.07.05 |
---|---|
장마철 빨래 냄새 없이 뽀송하게 말리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5.06.25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 및 금액, 지급시기 알아보기 (0) | 2025.06.24 |
태권도 품새, 17개 전부 알아보기 (1) | 2025.06.08 |
한약도 이제 건강보험! 실비보험 중복 적용!!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