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3

광환경 태양광은 생명현상의 에너지원이다. 지구상에 있는 생물의 대부분은 태양에 의존해 살고 있다. 즉, 거의 모든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당과 유용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광합성에 의존해 살고 있다. 빛의 역할은 광합성에서 끝나지 않는다. 식물이 빛을 감지하는 것은 동물이 시력을 갖는 것처럼 중요하다. 식물세포의 빛 수용체는 빛을 화학적 신호로 전환하여 씨앗의 발아나 개화는 물론 식물의 주요한 생활사를 진행하는 신호로 사용한다. 광은 작물의 기본 생리작용인 광합성, 호흡, 증산작용은 물론 굴광현상, 신장과 개화, 착색에 이르기까지 각종 생리작용에 직접, 간접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는 광과 작물의 생리작용의 관계, 지구표면에서 수광상태, 광도와 광합성의 상호관계, 포장에서 광합성을 고립상.. 2024. 1. 10.
온도환경 온도는 생명현상을 지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구표면에 도달한 태양에너지는 토양이나 식물에 흡수되어 열로 변한다. 지구상의 기온이나 지온의 지리적 분포, 계절적 변화는 생물의 생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생물의 생명현상은 복잡한 생화학반응과 연쇄되어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세포분열이라든가 생장, 양분의 흡수, 동화, 호흡 등의 대사작용은 온도의 함수로 표현된다. 그러나 일정한 한계보다 낮은 온도와 높은 온도는 대사작용을 크게 쇠퇴시켜 죽게한다. 즉 식물체의 생장 및 발육은 식물체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이화학적 반응의 종합적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이화학적 반응은 온도에 의해 그 속도가 크게 지배되므로 온도는 식물의 생장, 발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온도는 광합성, 동화물질의 전류, .. 2024. 1. 8.
대기환경 대기는 질소와 산소, 이산화탄소가 주성분이며, 그 밖에 수증기, 미진, 미생물 및 각종 오염물질이 섞여 있다. 대기환경은 대체로 질소 79%, 산소21%, 이산화탄소 0.03%의 비율을 유지하는데, 이들은 작물의 중요한 기본 생리작용에 직접 관계할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도 작물의 생육에 여러가지 영향을 미친다. 광합성, 호흡작용, 유리질소 고정작용, 유해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광합성을 하며 산소가 있어야 호흡을 한다. 또한 공기중의 질소는 질소고정균의 유리질소 고정재료로 식물의 영양원이 된다. 한편, 공기중에는 작물생육을 저해하는 유해성분이 있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생육에 장해를 일으킨다. 여기서는 대기환경과 관련있는 이산화탄소, 산소, 질소의 역할을 살펴보고, 대기조성에 .. 2024. 1. 7.
수분환경 생체의 70% 이상은 물이다. 따라서 물이 있는 곳에 생명이 있게 마련이다. 생물은 물과 더불어 있으며 생명현상은 물과 결부된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다. 물은 작물의 생리대사 과정에 필요한 생리수와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환경수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이 모두가 작물재배에 중요한 사항이다. 수분은 살아있는 식물세포 원형질의 생활상태를 유지시키며, 식물체의 구성물질이고, 영양물질을 흡수하는 용매구실을 한다. 또한 식물체가 필요로 하는 물질의 합성과 분해과정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수분의 기본 생리작용과 습해, 수해, 한해 등 수분의 과부족이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수분은 살아있는 식물세포 원형질의 생활상태를 유지시키며, 식물체의 구성물질로 영양물질을 흡수하는 용매구실을 한다. .. 2024. 1. 6.
토양환경 토양은 작물생육에 중요한 구실을 한다.토양의 이학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성질은 작물생육과 깊은 관계가 있다. 토양 성질의 종합조건은 작물의 생산력을 지배한다. 이것이 지력이다. 지력을 향상시키면 작물생산성이 높아지고 품질이 좋아지며 안전한 생산이 가능하다. 지력을 향상시키면 위해서는 먼저 토양조건에 대하여 토성, 토양구조, 토양 중의 무기성분, 토양유기물, 토양수분, 토양공기, 토양반응, 토양미생물 등의 주요 특성을 알고, 지력의 연속성 유지를 위한 토양보호 대책을 강구하여 작물생산의 유지와 증대를 꾀할 수 있다. 토양입자를 크기에 따라서 나눈 토양의 종류를 토성이라고 한다. 즉 모래와 점토의 구성비율에 따라 토양을 구분하는 것이다. 토성을 결정하는 원래의 입자들이 입단을 형성하게 되면 입단들 사이에 .. 2024. 1. 5.
작물의 유전과 육종 작물의 유전과 품종육성 방법, 새로운 품종의 증식 및 보급체계와 관리에 대해 알아본다. 멘델의 제1법칙은 감수분열을 할 때 대립유전자쌍이 분리된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염색체에 있는 비대립유전자들이 독립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독립의 법칙 또는 멘델의 제2법칙이라고 한다. 그러나 대립유전자 간에 연관이 있는 경우에는 독립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비대립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에는 보족유전자, 중복유전자, 복수유전자, 억제유전자, 상위와 하위, 다면현상이 있다. 유전자형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표현형이 나타나는데, 같은 유전자형이 나타나는 표현형의 범위를 그 유전자형의 반응규격이라고 하며, 그 크기는 유전자형에 따라 다르다. 2개의 서로 다른 형질을 지배하는 유전자들이 같은 염색체에 가까이 있다면, 이 유전자들.. 2024.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