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3 유전자원의 보존과 이용 알아보기 1. 유전자원의 의의 알아보기 식물중에서 인류가 이용 가능한 유전변이를 유전자원이라고 한다. 그동안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많은 우량품종을 육성하였다. 그 결과 유전적으로 다양한 재래종들이 급속히 사라지게 되었으며 이를 유전적 침식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0년간 작물의 재래종 중에서 1/3이 멸종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수의 우량품종을 확대 재배함으로써 병해충이나 냉해 등 재해로 부터 일시에 급격한 피해를 받게 되었는데 이를 유전적 취약성이라고 한다. 예로 다수성인 통일형 품종은 1980년에 냉해로 인해 평년작보다 32%가 감수하였다. 따라서 유전자원을 탐색, 수집, 보존하는 일은 장래 육종은 물론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유전자원에는 작물의 재래종, 육종품종, 근연 야생종은 .. 2024. 1. 25. 신품종의 유지, 증식 및 보급 알아보기 1. 신품종의 등록과 특성유지 신품종에 대한 품종보호권을 국립종자원에 설정 및 등록하면 종자산업법에 의하여 '육성자의 권리'를 20년 간 보장받고 과수와 임목은 25년간 보장받는다.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의 회원국은 국제적으로 육성자의 권리를 보호받으며 우리나라는 2002년 1월 7일에 가입하였다. 우리나라의 법적보호대상 작물은 단계적으로 확대되어 10년 유예기간이 끝나는 2012년 모든 작물의 품종이 보호대상이 된다. 신품종이 보호품종으로 되기 위해서는 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및 고유한 품종명칭의 5가지 품종보호요건을 구비해야 하며, 구별성, 균일성 및 안정성을 신품종의 3대 구비조건이라고 한다. 품종보호요건 중 신규성이란 품종보호출원일 이전에 우리나라와 국제식물신품종보호조약의 체결국에서는 1.. 2024. 1. 24. 육종에 대해 알아보기 1. 육종과정 작물육종은 목표형질에 대한 유전변이를 만들고, 우량한 유전자형을 선발하여 신품종으로 육성하며 이를 증식하고 보급하는 과학기술이다. 육종과정은 육종목표 설정부터 신품종 보급에 이르기까지 여러단계를 거친다. 육종목표를 설정할 때에는 기존 품종이 지닌 결점의 보완, 농업인과 소비자의 요구, 미래의 수요 등에 부합하는 형질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정한다. 육종목표가 정해지면 그에 적합한 육종재료를 선정하고 육종방법을 결정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대상작물의 생식방법과 목표형질의 유전방식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변이작성은 자연변이를 이용하거나, 인공교배, 돌연변이유발, 염색체조작, 유전자전환 등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유전변이가 만들어지면 반복적인 선발을 통해 우량계통을 육성하는데 이 단계는 여러 해가 .. 2024. 1. 23. 유전에 대해 알아보기 1. 변이 개체들 사이에 형질의 특성이 다른 것을 변이라고 한다. 형질의 변이는 유전적 원인으로 나타나는 유전변이와 환경요인에 의한 환경변이가 있다. 유전변이는 다음 세대로 유전되지만 환경변이는 유전되지 않는다. 유전변이가 생기는 것은 감수분열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전자재조합과 염색체와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주된 원인이다. 유전변이가 크다는 것은 유전자형이 다양하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유전변이는 형질의 특성에 따라 키가 크거나 작은 것 같은 형태적 변이와 병충해에 강하거나 약한 것과 같은 생태적 변이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변이양상에 의하여 꽃색깔이 붉은 것과 흰 것과 같이 뚜렷이 구별되는 불연속변이와 키가 작은 것부터 큰 것에 이르기까지 여러 등급으로 나타나는 연속변이로 구분하며 불연속변이를 하는 형질.. 2024. 1. 22. 품종에 대해 알아보기 1. 식물분류학과 작물의 품종 식물분류학에서 식물의 종류를 나누는 기본단위는 종이고, 종 바로 위의 분류단위는 속이다. 벼 속에는 24종이 있고 그 중 재배종은 사티바와 글라베리마이다. 식물학적 종은 개체간에 교배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자연집단이며, 2명법으로 이름을 붙인다. 2명법은 속명과 종소명을 함께 표시한 것으로서 이렇게 붙여진 이름을 학명이라고 한다. 학명은 라틴어로 명명하고 이탤릭체로 쓴다. 아시아벼 학명은 Oryza sativa L. 로 쓰면 L은 명명자인 린네를 가리킨다. 식물의 학명은 세계 공통이지만 재배식물인 작물의 이름은 언어, 지역 등에 따라 다르다. Oryza sativa L. 은 한국어로 벼, 영어로 라이스(rice), 중국어로 컹 또는 센, 일본어로 이네(いね) 등으로 불린다... 2024. 1. 21. 작물의 품종과 유전 및 육종 알아보기 재배기술은 주어진 재배환경에서 작물의 품종이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그동안 작물의 생산성은 큰 발전을 이룩하였다. FAO에 의하면 2010년 기준 벼, 밀, 옥수수의 단위면적당 세계 평균생산량은 1948~1952년에 비해 각각 1.6배, 2.3배, 2.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벼는 1910년대 120kg/10a에서 2010년 기준 500kg/10a수준으로 4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작물의 생산성 증가에는 작물육종에 의하여 육성된 우량품종이 큰 기여를 하였고 재배기술의 발전과 환경개선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작물의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품종의 기여도를 보면 미국의 옥수수는 57~63%, 영국의 보리와 밀은 각각 50%와 60%로 추정되었으며 동남아시아 지역의 쌀은 .. 2024. 1. 20.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