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반응과 산성토양 알아보기
토양의 반응은 토양용액중의 수소이온농도와 수산이온농도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며 보통 pH로 반응표시를 한다. 물은 적으나마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으로 해리한다. 순수한 물이 해리할 때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은 같고 이 상태가 중성이다. pH는 1~14의 수치로 표시되는데 7이 중성이고 7 이하가 산성이며 7 이상이 알칼리성이다. 토양중의 작물양분의 가급도는 토양의 pH에 따라 다르며 중성~미산성에서 가장 높다. 강산성이 되면 P, Ca, Mg, B, Mo 등의 가급도가 감소되어 작물생육에 불리하고 Al, Cu, Zn, Mn 등은 용해도가 증대하여 그 독성 때문에 작물생육이 저해된다. 강알칼리성이 되면 N, B, Fe, Mn 등의 용해도가 감소해서 작물생육에 불리하다. 그러나 B는 pH 8.5 이상에는 용해도가 커..
2024. 2. 5.
토양 중의 무기성분 알아보기
토양 중에는 각종 무기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작물생육의 영양원이 된다. 따라서 그 함양을 알맞게 할 필요가 있다. 작물의 생육에 필요불가결한 원소를 필수원소라고 하는데, 다음 16가지 원소를 가리킨다. 16가지 필수원소는 탄소(C), 산소(O), 수소(H), 질소(N), 인(P),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황(S), 철(Fe), 망간(Mn), 구리(Cu), 아연(Zn), 붕소(B), 몰리브덴(Mo), 염소(Cl)이다. 이 중에서 탄소, 산소, 수소는 이산화탄소와 물에서 공급되고, 나머지는 토양성분 중에서 공급되는데 탄소, 산소, 수소의 3원소를 제외한 13원소를 필수무기원소라고 한다. 이 중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황의 6원소 때로는 6원소에 탄소, 산소, 수소를 포함한 ..
2024. 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