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64

토양수분 알아보기 토양수분은 작물의 생육에 불가결한 요소이다. 여기에서는 토양수분의 기본적 사항만 알아보고 자세한 내용은 수분 파트에서 알아보겠다. 토양 또는 식물체 내의 수분상태를 수분퍼텐셜이라고 한다. 토양중에는 수분퍼텐셜이 높고 낮은 지점이 산재하여 수분의 공간분포에 편차가 존재하고 물은 이 편차에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토양수분이 식물에 흡수되어 증산작용을 통하여 대기로 나가는 과정은 수분퍼텐셜의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본다. 토양수분의 함량을 건토에 대한 수분의 함량비로 표시하며 토양의 절대수분함량이 표시된다. 그러나 이것은 작물의 흡수력과 직결된 표시가 되지 못하므로 직결된 척도로 표시할 때에는 보통 토양수분장력을 사용한다. 이것은 임의의 수분함량의 토양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단위면적당 힘이.. 2024. 1. 31.
토양유기물 알아보기 토양중의 유기물은 지력을 배양하는데 극히 중요하다. 토양중의 유기물 즉 동물과 식물의 잔재는 미생물작용이나 화학작용을 받아서 분해된다. 분해작용을 받아서 유기물의 원형을 잃은 암갈색에서 흑색의 부분을 특히 부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토양유기물 전체를 부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토양유기물의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유기물이 분해될 때 여러가지 산을 생성하여 암석의 분해를 촉진한다. 유기물이 분해되어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다량원소와 망간, 붕소, 구리, 아연 등의 미량원소를 공급한다. 유기물이 분해될 때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작물 주변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여서 광합성을 촉진한다. 유기물이 분해될 때에는 호르몬, 핵산물질 등의 생장촉진물질을 생성한다.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기는 부식.. 2024. 1. 30.
토양 중의 무기성분 알아보기 토양 중에는 각종 무기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작물생육의 영양원이 된다. 따라서 그 함양을 알맞게 할 필요가 있다. 작물의 생육에 필요불가결한 원소를 필수원소라고 하는데, 다음 16가지 원소를 가리킨다. 16가지 필수원소는 탄소(C), 산소(O), 수소(H), 질소(N), 인(P),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황(S), 철(Fe), 망간(Mn), 구리(Cu), 아연(Zn), 붕소(B), 몰리브덴(Mo), 염소(Cl)이다. 이 중에서 탄소, 산소, 수소는 이산화탄소와 물에서 공급되고, 나머지는 토양성분 중에서 공급되는데 탄소, 산소, 수소의 3원소를 제외한 13원소를 필수무기원소라고 한다. 이 중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황의 6원소 때로는 6원소에 탄소, 산소, 수소를 포함한 .. 2024. 1. 28.
토양구조와 토층 알아보기 토양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모여 있는 상태를 토양구조라고 한다. 토양구조는 경토, 미경토, 하층토 등에 따라 복잡한 상태를 나타내는데, 작물의 생육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경토의 주된 토양구조는 다음과 같다. 단립구조는 비교적 큰 입자가 무구조인 단일상태로 집합되어 있는 구조로서 해안의 사구지에서 볼 수 있다. 대공극이 많고 소공극이 적으며, 토양통기와 투수성은 좋으나 수분과 비료분을 지니는 힘은 작다. 이상구조는 미세한 토양입자가 무구조, 단일상태로 집합된 구조이나 건조하면 각 입자가 서로 결합하여 부정형의 흙덩이를 형성하는 것이 단립구조와 다르다. 부식함량이 적고 과습한 식질토양에서 많이 보이며, 소공극은 많으나 대공극이 적어서 토양통기가 불량하다. 입단구조는 단일입자가 집합해서 2차입자로 되고, 다시 3.. 2024. 1. 27.
토양의 지력과 토성 알아보기 토양조건은 작물의 생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인 종합적 조건은 작물의 생산성을 지배하는데, 이를 지력이라고 한다. 주로 물리화학적인 지력조건을 토양비옥도라고 하기도 한다. 지력을 높이려면 토양조건을 다음과 같이 유도해야 한다. 토성은 양토를 중심으로 하여 사양토~식양토의 범위가 토양의 수분, 공기, 비료성분 등의 종합적 조건에서 알맞다. 사토는 토양수분과 비료성분이 부족하고 식토는 토양공기가 부족하다. 토양구조는 입단이 조성될수록 토양의 수분과 공기상태가 좋아진다. 토층은 작토가 깊고 양호하며 심토도 투수, 통기가 알맞아야 좋다. 토양반응은 중성~약산성이 알맞으며 강산성이나 알칼리성이면 작물생육에 나쁘다. 필요한 무기성분이 풍부하고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일부 성.. 2024. 1. 26.
환경의 개념 알아보기 삼림, 호수, 바다 등과 같이 태양에너지에만 의존하는 자연생태계의 군집은 극상을 향하여 발전하기 때문에 생물다양성과 더불어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농경지, 과수원, 초지, 방목지, 축산 등과 같은 농업생태계는 선택된 생물이 우점상태를 유지하여 그 이용성과 생산성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태양에너지는 물론 별도로 화석연료, 비료, 농약, 인력과 같은 보조에너지를 인위적으로 투입해야 한다. 따라서 농업생태계는 자연생태계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전체적으로 불안정하다. 농업생산기술은 재배작물의 태양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는 기술이고, 농업생태계에서 에너지의 흐름은 사람의 간섭에 따라 달라진다.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면에서 보면, 생물종과 유전자의 다양성 및 안정성은 닫힌 시스템인 자연생태계에서는 높은.. 2024.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