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49

재배의 기원과 발달 알아보기 1. 재배의 기원 구석기시대의 사람들은 식물의 뿌리, 잎, 종자, 과실 등을 채취하거나 사냥을 하고 물고기를 잡아서 식량을 확보하였으며 한 곳의 식량이 떨어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였다.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때는 최후의 빙하기가 끝나고 지구의 기온이 현재와 비슷해진 약 1만년 전의 신석기시대 초기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 유럽, 중동, 아시아의 일부에서 빙하가 급격히 녹아서 호수와 습지가 증가하였으며, 호수에는 물고기가 증가하였다. 인류는 유동성 수렵을 중지하고 호수 근처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착생활의 결과 생활쓰레기가 버려지는 곳에서는 먹다 버린 음식에서 먹을 수 있는 식물이 자라는 것을 자연발생적으로 발견하게 되었으며, 여기에서 작물이 발생하였다고 추정된다. 원시인들이 산과 들에서 채취한 자연식.. 2024. 1. 16.
작물재배의 정의와 이론 알아보기 1. 재배 및 작물의 정의 농업이란 토지를 이용하여 유용한 식물을 기르거나 또는 유용한 동물을 사육하는 산업을 말한다. 식물을 생산하는 분야를 재배 또는 경종이라 한다. 재배 또는 경종은 인간이 경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기르고 수확을 올리는 경제적 행위로 정의된다. 작물이란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아서 사람의 재배대상이 되는 식물을 뜻한다. 삼림식물이나 조경식물은 이용성과 경제성으로 보면 일종의 작물이지만 발달 정도와 이용분야가 다르므로 일반작물에서 분리되어 임학, 조경학 등 별개 분야에서 취급된다. 2. 재배의 이론과 재배학 작물재배의 최종 목적은 되도록 많은 수량을 내어 소득을 올리는 것이다. 일정한 토지면적에서 작물의 수량이 극대화되려면 유전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택하고 최적의 환경조건을 조성해주며 알맞은.. 2024. 1. 15.
작물의 수확과 품질 작물이 성숙한 뒤 적절한 시기에 수확하여야 수량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수확시기는 작물의 발육정도, 조직의 충실도, 함유성분의 함량 등과 시장조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작물의 수량을 예측하거나 심사할 때는 보통 평예법을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수량을 나타낸다. 생산물은 수확 후 건조, 도정, 정선, 포장, 저장 등 여러 과정을 거치는데 특히 농산물 저장은 가격보장, 품질보존 등에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작물생산도 높은 수량생산성만이 아니라 질적으로도 고품질이어야만 상품가치를 높여 농가경영에 이익이 된다는 인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고품질 작물생산을 위한 재배법 개선 및 수확 후 관리기술이 필요하다. 작물재배는 종실, 줄기, 잎, 뿌리를 등 이용부위를 수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용부위의 성숙시기에.. 2024. 1. 14.
작물의 재배관리 작물은 인간에 의해 개량되어 왔기 때문에 불량한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약해져 인위적인 보호관리가 있어야만 재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작물의 발아와 생육에 양호한 토양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파종 및 이식하기 전에 경기, 쇄토, 작휴, 진압 등의 정지작업을 하는데, 그 효과와 방법 그리고 작휴법을 알아본다. 종자의 발아와 입모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선종방법, 파종기, 파종양식, 파종량 등에 대하여 살펴보는 한편 비배관리로서 비료를 주는 일 그리고 종경, 멀칭, 배토, 흙넣기, 답압의 효과와 요령, 작물의 내적균형, 생장조절제, 방사동위원소에 대하여 알아보자. 경운(논밭을 갈고 김을 맴)의 효과로는 토양의 물리적 개선, 토양화학적 성질의 개선, 잡초발생 억제, 해충의 경감 등을 들 수 있다. 파종.. 2024. 1. 13.
종묘와 육묘 작물재배에서 다수의 양질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량종자 혹은 종묘를 육성해야 하며 또한 선택하여 재배해야 한다. 여기서는 종묘의 뜻과 종류, 종자의 생성과정과 구조, 종자의 발아기구, 종자의 발아력과 검정방법, 종자휴면의 원인과 휴면타파 및 발아촉진법, 종자퇴화의 원인과 대책 등을 알아본다. 작물재배는 육묘에서 시작되는데 작물의 번식법은 종자번식과 영양번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가 장단점이 있어 작물의 종류, 재배목적, 재배조건 등에 따라 달라진다. 영양번식에 의한 육묘방법, 묘의 종류, 묘상의 설치 및 구조, 묘상의 열관리 요령을 살펴본다. 식물번식의 출발점이 되는 종자와 모를 합하여 종묘라고 한다. 종묘 중에서 유성생식의 결과 수정에 의해 배주가 발육한 것을 식물학상 종자라 한다. 영양체뿐만.. 2024. 1. 12.
작부체계 작물의 작부체계는 기상조건, 지력, 농업경영 요소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시대변천에 따라 작부체계는 생산성 증대, 지력유지, 농업안정성 확보하며 등의 목적을 위하여 제한된 토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노력으로 발달되어 왔다. 인구증가에 따른 농경지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조방농업으로부터 윤작방식으로 변화해 온 배경과 발달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연작과 기지현상, 윤작과 그 효과, 답전윤환재배의 이점, 혼파와 혼작의 이용방법, 간작 등의 작부체계를 학습한다. 일정한 토지에서 작물의 순차적인 재배 또는 조합, 배열의 방식을 작부체계라고 한다. 작물의 작부방식은 토지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것으로 여러가지 형식이 있다. 동일한 포장에 같은 종류의 작물을 계속해서 재배하는 것을 연작이라 한다... 2024.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