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49

유전에 대해 알아보기 1. 변이 개체들 사이에 형질의 특성이 다른 것을 변이라고 한다. 형질의 변이는 유전적 원인으로 나타나는 유전변이와 환경요인에 의한 환경변이가 있다. 유전변이는 다음 세대로 유전되지만 환경변이는 유전되지 않는다. 유전변이가 생기는 것은 감수분열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전자재조합과 염색체와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주된 원인이다. 유전변이가 크다는 것은 유전자형이 다양하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유전변이는 형질의 특성에 따라 키가 크거나 작은 것 같은 형태적 변이와 병충해에 강하거나 약한 것과 같은 생태적 변이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변이양상에 의하여 꽃색깔이 붉은 것과 흰 것과 같이 뚜렷이 구별되는 불연속변이와 키가 작은 것부터 큰 것에 이르기까지 여러 등급으로 나타나는 연속변이로 구분하며 불연속변이를 하는 형질.. 2024. 1. 22.
품종에 대해 알아보기 1. 식물분류학과 작물의 품종 식물분류학에서 식물의 종류를 나누는 기본단위는 종이고, 종 바로 위의 분류단위는 속이다. 벼 속에는 24종이 있고 그 중 재배종은 사티바와 글라베리마이다. 식물학적 종은 개체간에 교배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자연집단이며, 2명법으로 이름을 붙인다. 2명법은 속명과 종소명을 함께 표시한 것으로서 이렇게 붙여진 이름을 학명이라고 한다. 학명은 라틴어로 명명하고 이탤릭체로 쓴다. 아시아벼 학명은 Oryza sativa L. 로 쓰면 L은 명명자인 린네를 가리킨다. 식물의 학명은 세계 공통이지만 재배식물인 작물의 이름은 언어, 지역 등에 따라 다르다. Oryza sativa L. 은 한국어로 벼, 영어로 라이스(rice), 중국어로 컹 또는 센, 일본어로 이네(いね) 등으로 불린다... 2024. 1. 21.
작물의 품종과 유전 및 육종 알아보기 재배기술은 주어진 재배환경에서 작물의 품종이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그동안 작물의 생산성은 큰 발전을 이룩하였다. FAO에 의하면 2010년 기준 벼, 밀, 옥수수의 단위면적당 세계 평균생산량은 1948~1952년에 비해 각각 1.6배, 2.3배, 2.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벼는 1910년대 120kg/10a에서 2010년 기준 500kg/10a수준으로 4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작물의 생산성 증가에는 작물육종에 의하여 육성된 우량품종이 큰 기여를 하였고 재배기술의 발전과 환경개선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작물의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품종의 기여도를 보면 미국의 옥수수는 57~63%, 영국의 보리와 밀은 각각 50%와 60%로 추정되었으며 동남아시아 지역의 쌀은 .. 2024. 1. 20.
재배의 현황 알아보기 세계와 우리나라의 재배현황과 우리나라 농업의 특색과 과제를 알아보자. 1. 세계의 재배현황 국토면적 중 일반작물을 재배하는 토지를 농경지 또는 경지라고 하며 경지는 과수와 임목을 재배하는 수원지를 포함한다. 한편 다년생 목초를 재배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토지를 영년토지라고 한다. 세계의 토지를 총면적은 약 134.6억 ha인데 이 중 농경지는 약 15.3억 ha로 경지율이 11.3%이다. 세계의 영년초지 면적은 33.6억 ha로 영년초지율이 24.9%이다. 농경지와 영년초지를 합한 농업용 토지의 비율은 36.2%이다. 농경지를 면적과 경지율은 아시아가 가장 높고 다음이 유럽, 북/중앙아메리카, 아프리카 순이다. 세계 전체 경제활동인구 중 농업 비중은 40.6%이나 선진국은 1.5~4% 수준이고 대부분의 아.. 2024. 1. 19.
작물의 분류 알아보기 1. 작물의 종류와 종수 지구상에 현존하는 약 235,000종의 식물중에서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의 총수는 2,200여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식용작물은 888종이 알려져 있는데 채소와 과실류 등 원예작물을 별도로 하면 식량작물은 169종이다. 재배식물 중 경재작물은 약 80여종에 불과하다. 3대 작물인 벼, 밀, 옥수수가 인류의 곡물 소비량의 75%를 차지한다. 2. 작물의 분류 일반식물의 분류는 볏과식물, 콩과식물, 배추과식물, 국화과식물, 가지과식물 등 식물학적 분류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작물은 일반적으로 식물학적 분류법보다 이용성, 경제성, 재배성을 중심으로 분류한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작물의 분류법은 용도에 따른 분류이다. 용도에 따른 분류를 나열하면 식용작물, 공예작물, 약용작.. 2024. 1. 18.
작물의 기원과 전파 알아보기 1. 작물의 기원 인류가 정주생활을 시작하고 식물의 생활환에 개입하여 그 일부를 관리하게 되면서 재배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생육기간의 일부분이나 생육장소를 관리하는 정도의 반재배의 형태가 장기간 지속되다가 차츰 본격적인 재배가 정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까지도 아프리카 등지에서는 반재배적인 관리형태가 잔존하고 있다. 식물은 인간의 관리에 적응하는 방향으로 순화하여 재배형의 종, 즉 작물이 발달하였다. 작물의 야생형 식물을 그 작물의 야생종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잡초인 강아지풀은 조의 야생종이고 돌콩은 콩의 야생종이다. 2. 식물의 진화와 작물로서의 특징 획득 식물은 자연교잡과 돌연변이 때문에 자연적으로 유전적 변이가 발생한다. 새로운 유전형 중에서 환경이나 생존경쟁에 견디지 못하는 것은 도태되고 견.. 2024.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