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3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21) 3. 재배3-2. 재배기술(3-1) 1. 작부체계의 뜻- 일정한 포장에서 몇 종류의 작물을 해마다 바꾸어 재배(윤작, 다모작, 자유작)하거나- 같은 해에 여러 작물을 조합·배열하여 함께 재배(간작, 혼작, 교호작, 주위작)하는 재배방식 2. 작부체계의 중요성(1) 생물학적·재배기술적인 면에서의 효과(2) 농업경영면에서의 효과- 경지 이용도의 제고- 지력의 유지증강- 병충해 및 잡초발생의 감소- 농업생산성 향상과 생산의 안정화- 농업노동의 효율적 배분, 잉여노동의 최대한 활용- 종합적인 수익성 향상과 안정화 도모3. 작부체계의 변천(1) 대전법(화전)* 대전법은 개간한 토지에서 몇 해 동안 작물을 연속적으로 재배하고 그 후 지력이 소모되고 잡초발생이 증가하면 경지를 떠나 다른 토지를 개간하여 작물을 재배하.. 2024. 6. 10.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20) 3. 재배3-1. 재배환경3-1-7. 상적 발육과 환경 69. 버널리제이션(春化, 春化處理, vernalization)의 뜻식물체가 생육의 일정 시기(주로 초기)에 저온을 경과함으로써 화성(flowering), 즉 꽃눈의 분화·발육이 유도·촉진되거나 생육의 일정 시기(주로 초기)에 일정 기간 인위적인 저온을 주어서 화성을 유도·촉진하는 것 70. 버널리제이션의 농업적 이용수량증대: 추파맥류를 버널리제이션해서 춘파하면 춘파형 지대에서도 추파형 재배가 가능하나 수량 증대의 효과는 없었으나, 벼의 최아종자를 9∼10℃에 35일간 보관하였다가 파종하여 재배하여 불량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지고 증수하였다는 보고가 있음대파: 추파맥류가 동사하였을 때 버널리제이션을 해서 봄에 대파할 수 있다촉성재배: 딸기는 화아분.. 2024. 6. 10.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9) 3. 재배3-1. 재배환경3-1-6. 광 63. 광포화점과 광보상점의 정의를 쓰시오.- 광포화점: 빛의 세기가 어느 한계에 이르면 더 이상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지 않을 때(광포화)의 빛의 세기- 광보상점: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호흡을 통한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같아질 때의 빛의 세기 64. 포장동화능력이란?- 포장군락의 단위면적당 동화능력- 포장동화능력=총엽면적×수광능률×평균동화능력- 포장동화능력은 수량을 지배한다.- 포장동화능력이 좋다는 것은 수량성이 높다는 것이다.- 평균동화능력을 높이려면 시비, 물관리를 잘하여 무기영양상태를 좋게하면 높아진다.* 수광능률이란?(1) 군락의 잎들이 광을 받아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광합성에 이용하는가를 표시(2) 수광능률은 총면적과 군락의 수광태세에 지배된다... 2024. 6. 10.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8) 3. 재배3-1. 재배환경3-1-5. 온도(2-2) 54. 목초의 하고현상내한성이 강하여 잘 월동하는 다년생인 한지형 목초(northern grass)는 여름철에 접어들면서 생장이 쇠퇴·정지하고, 심하면 황화·고사하여 여름철의 목초생산이 몹시 감소되는 현상 * 스프링플러시(spring flush): 한지형 목초의 생육은 봄철에 왕성하여 목초 생산량이 집중되는 현상으로 스프링플러시가 심할수록 하고현상도 심해진다. 55. 냉온장해(chilling injury)와 냉해(cool-weather injury)의 정의냉온장해: 작물이 조직 내에 결빙이 생기지 않는 범위의 저온에서 피해를 받는 것냉해: 여름작물에서 고온이 필요한 여름철에 저온을 만나서 입는 피해, 그러나 일반적으로 여름작물이 저온을 만나 받는 피해는.. 2024. 6. 9.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7) 3. 재배3-1. 재배환경3-1-5. 온도(2-1) 45. 최저온도, 최적온도, 최고온도에 따른 작물의 선택(호밀, 귀리, 벼)- 호밀: 최저 1~2℃, 최적 25℃, 최고 30℃- 귀리: 최저 4~5℃, 최적 25℃, 최고 30℃- 벼: 최저 10~12℃, 최적 30~32℃, 최고 36~38℃* 최저온도: 작물 생육이 가능한 가장 낮은 온도* 최적온도: 생육이 가장 왕성한 온도* 최고온도: 작물 생육이 가능한 가장 높은 온도* 유효온도: 작물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 46. 적산온도의 정의- 작물의 발아로부터 성숙에 이르기까지의 0℃ 이상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것으로 작물의 적산온도는 생육시기와 생육기간에 따라 차이가 생긴다.47. 적산온도의 정의를 쓰시오.- 작물의 발아로부터 성숙에 이르기까지의 0.. 2024. 6. 9.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6) 3. 재배3-1. 재배환경3-1-4. 공기(2-2) 38. 풍해, 연풍의 정의를 쓰시오.- 풍해: 초속 1.1~1.7m/s 이상의 강풍, 특히 태풍의 피해를 보통 풍해라고 하며 때로는 작물에 결정적인 피해를 준다. 풍해는 풍속이 크고 공기 습도가 낮을 때 심하다.- 연풍: 초속 1.1~1.7m/s 이하의 연풍(솔솔 부는 바람)은 대체로 작물의 생육을 이롭게 한다. 39. 연풍의 이점(1) 증산 및 양분흡수의 촉진 (2) 병해의 경감 (3) 광합성의 촉진 (4) 수정·결실의 촉진 (5) 기타: 여름의 기온과 지온을 낮추고, 봄·가을에는 서리를 막아주며 수확물의 건조를 촉진한다. * 연풍이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작물의 생육에 해로운 이유 - 잡초의 씨나 병균을 전파 - 건조할 때는 건조를 더욱 조장 - 냉풍은.. 2024.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