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작물의 재배관리

by 오썸70 2024. 1. 13.
반응형

  작물은 인간에 의해 개량되어 왔기 때문에 불량한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약해져 인위적인 보호관리가 있어야만 재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작물의 발아와 생육에 양호한 토양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파종 및 이식하기 전에 경기, 쇄토, 작휴, 진압 등의 정지작업을 하는데, 그 효과와 방법 그리고 작휴법을 알아본다. 종자의 발아와 입모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선종방법, 파종기, 파종양식, 파종량 등에 대하여 살펴보는 한편 비배관리로서 비료를 주는 일 그리고 종경, 멀칭, 배토, 흙넣기, 답압의 효과와 요령, 작물의 내적균형, 생장조절제, 방사동위원소에 대하여 알아보자.

  경운(논밭을 갈고 김을 맴)의 효과로는 토양의 물리적 개선, 토양화학적 성질의 개선, 잡초발생 억제, 해충의 경감 등을 들 수 있다. 파종시기는 작물의 종류 및 품종, 기후, 작부체계, 토양조건, 출하기, 재해의 회피, 노동력 사정 등에 따라 달라지고 파종양식으로는 산파(경지 전면에 여기저기 흩어지게 씨를 뿌리는 일), 조파(밭에 고랑을 내어 줄이 지게 씨를 뿌리는 일), 점파(씨앗을 한곳에 한 개 또는 몇 개씩 일정한 간격을 두고 뿌리는 일), 적파(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개의 종자를 한 곳에 뿌리는 일) 등을 들 수 있다. 파종량은 작물의 종류 및 품종, 기후, 토양 및 시비, 종자의 조건, 파종시기, 재배방식 등에 따라 변동된다.

  이식은 작물에 따라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하며, 이식시기는 작물의 종류, 토양 및 기상조건, 육묘(어린모나 묘목을 키우거나 기름)사정 등에 따르다. 이식의 양식으로는 조식(일찍 이식하는 방법), 점식(일정한 간격을 두고 띄어서 점점이 이식하는 방법), 혈식(나무, 농기구 따위로 뚫은 구멍에 식물을 심거나 삽목을 하는 방법), 난식(나무를 함부로 심음) 등이 있다.

  작물생육에 필요한 성분을 인공적으로 보급하는 물질을 비료라고 하며, 비료를 주는 일을 시비라고 한다. 비료는 효과의 발생양식, 지속성, 생리적 반응, 화학적 반응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눈다. 시비는 작물에 따라 그 시기, 방법, 분량을 달리한다. 작물시비의 이론적 배경에는 최소양분율과 수량점감의 법칙이 있다. 리비히는 작물의 수량은 최소양분의 공급량, 즉 수량제한 인자의 상태에 의하여 지배된다는 최소양분율을 제창하였고, 미처리히는 비료시용량의 일정한계 내에서는 시용량에 따른 수량의 증가량이 크지만 어느 한계 이상으로 많아지면 시용량에 따른 수량의 증가량이 점점 적어지며 마침내 시비량이 증가해도 수량이 증가하지 못한다는 수량점감의 법칙을 제창하였다.

  파종 이후의 작물의 대한 관리는 작물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관리와 간접적인 관리로 구분된다. 간접적인 것으로는 주로 토양처리로써 중경(작물이 자라는 도중에 김을 매어 두둑 사이의 골이나 그 사이의 흙을 부드럽게 하는 일), 멀칭(농작물이 자라고 있는 땅을 짚이나 비닐 따위로 덮는 일), 배토(농작물의 포기 밑에 흙을 모아 북돋아 주는 일), 흙넣기(보리 따위의 포기 사이에 흙을 뿌려 넣는 일), 답압(보리밭 따위의 농경지가 얼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밟아 주는 일)이 있다. 멀칭의 효과로는 한해(추위로 입는 피해)의 경감, 생육의 촉진, 토양의 보호, 잡초발생 억제, 과실의 품질향상을 들 수 있다.

  작물의 병충해방제법에는 경종적 방제법, 물리적 방제법, 생물학적 방제법, 화학적 방제법이 있다. 경종적 방제법은 재배적 방법에 의하여 병충해를 방제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는 저항성 품종의 선택, 재식밀도 조정, 윤작 등 재배환경의 개선과 토양의 비옥도 향상, 비료의 적정사용 등을 들 수 있다. 병충해종합관리(IPM) 이론은 병충해 전멸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병충해의 밀도를 경제적 피해허용 수준이하로 유지하는 병충해의 관리체계이다.

  잡초방제는 박멸하기보다는 잡초허용 한계밀도 이하로 낮추어서 작물과의 경합력을 약화시켜 작물수량 감소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방제법으로는 생태적/경종적 방제법, 물리적 방제법, 생물적 방제법, 화학적 방제법 등이 있다. 몇 종류의 방제법을 상호협력적인 조건으로 연계성 있게 수행하는 방제법이 종합적 잡초방제법(IWM)이다.

  작물체 내의 생리적/형태적인 균형이나 비율은 작물생장의 지표가 되는데 이는 C/N율, T/R율, G-D균형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다. 탄수화물(C)과 질소(N)의 비율이 작물의 생육, 화성, 결실을 지배한다는 이론이 C/N율설이다. 작물의 지하부 샹당량의 비율을 T/R율이라고 한다.

  식물은 체내의 조직과 기관들이 광합성 활동을 하여 생산한 탄수화물과 뿌리에서 흡수한 양, 수분 그리고 주어진 환경조건의 영향으로 조화된 생장을 한다. 이때 식물의 조직 또는 기관 내에서 미량의 물질들이 작용하여 생리적, 형태적으로 특수한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데 이를 식물호르몬이라 한다. 이것은 뿌리, 잎, 과실, 상처의 치유 등에 작용하여 생장을 억제하거나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식물호르몬 옥신은 줄기 및 뿌리의 생장, 측아의 생장, 낙엽, 낙과, 과실의 성숙에 관여한다. 옥신류 호르몬은 발근촉진, 접목의 활착촉진, 가지의 굴곡유도, 개화촉진, 적화 및 적과, 낙과방지, 과실의 비대와 성숙 촉진, 단위결과의 유도, 제초제로서의 이용 등 작물재배에 유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벼의 키다리병에서 유래된 지배렐린은 식물체 내에서 생합성되어 식물체의 모든 기관으로 이행되어 발아촉진, 화성의 유도와 촉진, 경엽신장 촉진, 단위결과 유도, 성분변화, 작물의 수량증대에 영향을 미친다. 이 밖에 중요한 호르몬으로는 시토키닌, ABA 및 에틸렌 등이 있다.

  방사성동위원소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의 방사선을 방출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 동위원소는 작물의 영양생리 연구, 토양비료, 농약, 가축, 농업토목, 식물의 저장 및 작물의 육종에 이용되고 있다.

반응형

'재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물재배의 정의와 이론 알아보기  (1) 2024.01.15
작물의 수확과 품질  (0) 2024.01.14
종묘와 육묘  (0) 2024.01.12
작부체계  (0) 2024.01.11
상적발육과 환경  (0)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