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7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9) 3. 재배3-1. 재배환경3-1-6. 광 63. 광포화점과 광보상점의 정의를 쓰시오.- 광포화점: 빛의 세기가 어느 한계에 이르면 더 이상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지 않을 때(광포화)의 빛의 세기- 광보상점: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호흡을 통한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같아질 때의 빛의 세기 64. 포장동화능력이란?- 포장군락의 단위면적당 동화능력- 포장동화능력=총엽면적×수광능률×평균동화능력- 포장동화능력은 수량을 지배한다.- 포장동화능력이 좋다는 것은 수량성이 높다는 것이다.- 평균동화능력을 높이려면 시비, 물관리를 잘하여 무기영양상태를 좋게하면 높아진다.* 수광능률이란?(1) 군락의 잎들이 광을 받아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광합성에 이용하는가를 표시(2) 수광능률은 총면적과 군락의 수광태세에 지배된다... 2024. 6. 10.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8) 3. 재배3-1. 재배환경3-1-5. 온도(2-2) 54. 목초의 하고현상내한성이 강하여 잘 월동하는 다년생인 한지형 목초(northern grass)는 여름철에 접어들면서 생장이 쇠퇴·정지하고, 심하면 황화·고사하여 여름철의 목초생산이 몹시 감소되는 현상 * 스프링플러시(spring flush): 한지형 목초의 생육은 봄철에 왕성하여 목초 생산량이 집중되는 현상으로 스프링플러시가 심할수록 하고현상도 심해진다. 55. 냉온장해(chilling injury)와 냉해(cool-weather injury)의 정의냉온장해: 작물이 조직 내에 결빙이 생기지 않는 범위의 저온에서 피해를 받는 것냉해: 여름작물에서 고온이 필요한 여름철에 저온을 만나서 입는 피해, 그러나 일반적으로 여름작물이 저온을 만나 받는 피해는.. 2024. 6. 9.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7) 3. 재배3-1. 재배환경3-1-5. 온도(2-1) 45. 최저온도, 최적온도, 최고온도에 따른 작물의 선택(호밀, 귀리, 벼)- 호밀: 최저 1~2℃, 최적 25℃, 최고 30℃- 귀리: 최저 4~5℃, 최적 25℃, 최고 30℃- 벼: 최저 10~12℃, 최적 30~32℃, 최고 36~38℃* 최저온도: 작물 생육이 가능한 가장 낮은 온도* 최적온도: 생육이 가장 왕성한 온도* 최고온도: 작물 생육이 가능한 가장 높은 온도* 유효온도: 작물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 46. 적산온도의 정의- 작물의 발아로부터 성숙에 이르기까지의 0℃ 이상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것으로 작물의 적산온도는 생육시기와 생육기간에 따라 차이가 생긴다.47. 적산온도의 정의를 쓰시오.- 작물의 발아로부터 성숙에 이르기까지의 0.. 2024. 6. 9.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6) 3. 재배3-1. 재배환경3-1-4. 공기(2-2) 38. 풍해, 연풍의 정의를 쓰시오.- 풍해: 초속 1.1~1.7m/s 이상의 강풍, 특히 태풍의 피해를 보통 풍해라고 하며 때로는 작물에 결정적인 피해를 준다. 풍해는 풍속이 크고 공기 습도가 낮을 때 심하다.- 연풍: 초속 1.1~1.7m/s 이하의 연풍(솔솔 부는 바람)은 대체로 작물의 생육을 이롭게 한다. 39. 연풍의 이점(1) 증산 및 양분흡수의 촉진 (2) 병해의 경감 (3) 광합성의 촉진 (4) 수정·결실의 촉진 (5) 기타: 여름의 기온과 지온을 낮추고, 봄·가을에는 서리를 막아주며 수확물의 건조를 촉진한다. * 연풍이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작물의 생육에 해로운 이유 - 잡초의 씨나 병균을 전파 - 건조할 때는 건조를 더욱 조장 - 냉풍은.. 2024. 6. 9.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5) 3. 재배3-1. 재배환경3-1-4. 공기(2-1) 31. 대기의 성분은?- 질소(79%), 산소(21%), 이산화탄소(0.03%) 32. 이산화탄소시비의 정의를 쓰시오.- 시설재배에서 시설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인위적으로 높여주는 것을 "이산화탄소시비" 또는 "탄산시비" 또는 "탄산비료" 라고 한다. 33. 이산화탄소 농도에 관여하는 요인은?(1) 계절(여름철 광합성 왕성) (2) 지면과의 거리(이산화탄소는 무거움) (3) 식생(뿌리주위 이산화탄소↑, 잎주위 이산화탄소↓) (4) 바람(공기중의 농도 불균형) (5) 미숙유기물의 시용(일종의 탄산시비 효과) 34. 대기오염의 정의와 농작물에 영향을 끼치는 유해가스를 설명하시오.깨끗한 대기에 다른 물질이 혼입되어 인간에게는 물론, 다른 생물과 무생물에게 .. 2024. 6. 8.
식물보호산업기사 실기시험 요약집(14) 3. 재배 3-1. 재배환경 3-1-3. 수분(2-2) 23. 밭작물에 대한 재배대책 - 뿌림골(이랑)을 낮게한다. - 뿌림골(이랑)을 좁히거나 재식밀도를 성기게 한다. - 질소 과용을 피하고 퇴비·인산·칼리를 증시한다. - 봄철 맥류를 답압(밟아줌)한다. - 내건성인 작물과 품종을 선택하고, 토양수분의 보류력을 높이며, 증발을 억제하는 조치를 한다. 24. 논벼에 대한 재배대책 - 수리불안전답은 생력재배를 겸하여 건답직파로 전환한다. - 남부의 수리불안전답에는 품종과 재배법을 고려한 만식적응재배를 한다. - 손모내기를 할 때에는 밭못자리모, 박파묘가 만식적응성이 강하다. - 손모내기의 경우 모내기가 늦어질 때 모의 과숙을 회피하는 방법으로 모솎음, 못자리가식, 본답가식, 저묘 등이 있다. - 모내기가 .. 2024.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