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3

촛대초령목 화분에서 키우는 재배 포인트 촛대초령목은 목련과에 속하는 상록 관목으로, 초령목은 한자로 昭靈木이라 하여 ‘신령을 부르는 나무’라 불린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울릉도, 남해안 일부 지역에 자생하며, 매우 드물고 보호가 필요한 희귀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도 분포하나, 국내에서는 특히 온화한 해양성 기후대에서 생장이 가능하다. 이 식물은 4월에서 5월 사이에 순백색의 꽃을 피우며, 꽃잎은 6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안쪽에는 연보라색 화피선이 드러난다. 꽃은 향기롭고 개화 시기에는 단아한 자태로 사람의 시선을 끈다. 개화가 끝난 후에는 적색의 작은 열매를 맺는데, 이 열매는 타원형이며 내부에 씨앗이 들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촛대초령목은 향기와 아름다움을 겸비한 정원수로서의 .. 2025. 5. 7.
수수에 대해 알아보기 수수(Sorghum bicolor)는 벼과에 속하는 대표적인 일년생 곡물로,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며 기후변화 시대에 적합한 작물로 주목받고 있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수수는 현재 미국, 인도, 수단, 나이지리아 등에서 대규모로 재배되고 있으며, 옥수수, 밀, 쌀, 보리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곡물이다. 수수는 C4 광합성 경로를 가지므로 고온 및 건조한 환경에서도 광합성 효율이 높고, 물 사용량이 적은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기후변화에 취약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작황을 유지할 수 있어, 재생농업 및 도시농업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수수는 곡물 이외에도 사료, 감미료, 바이오에탄올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한국에서는 찰수수 형태로 주로 식품에 이용되고 있다. 전통음식 재료뿐만 아니라.. 2025. 5. 6.
등나무 알아보기 등나무는 봄철 정원에 낭만을 더하는 대표적인 덩굴성 목본이다. 콩과에 속하는 낙엽식물로, 성장 속도가 빠르고 수명이 길어 정원수로 널리 애용된다. 퍼골라나 아치형 구조물 위로 길게 뻗으며 흐드러지는 자줏빛 꽃은 보는 이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일본등나무와 중국등나무가 대표적인 품종이며, 각각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감긴다. 식재 후 뿌리가 자리를 잡으면 해마다 꽃을 풍성하게 피우며 정원의 중심 식물로 자리매김한다. 튼튼한 지지대를 세워주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 오랜 세월 정원미를 담당할 수 있다.등나무 재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햇빛이다. 하루에 최소 6시간 이상의 직사광선이 필요하며, 그늘이 지는 장소에서는 꽃이 잘 피지 않는다. 배수가 잘 되는 흙에서 잘 자라며, 너무 습하거나 물빠짐이 나.. 2025. 5. 5.
조르주 르멘 <양귀비> 꽃은 예쁘다. 그래서 꽃그림을 선호한다. 꽃은 나무가 주는 편안함과는 다른 화사한 기쁨을 준다. 기분 전환이 필요할 땐, 마음에 꽃 한 송이 피우는 꽃그림이 좋은 처방이다.조르주 르멘(Georges Lemmen, 1865~1916)은 벨기에 출신의 신인상주의 화가로, 프랑스의 쇠라와 시냐크의 영향을 받아 점묘법을 자신의 스타일로 발전시켰다. 그는 벨기에 예술가 그룹인 '레 반(Les XX)'의 일원이었으며, 이후 '라 리브르 에스테티크(La Libre Esthétique)'에서 활동하며 근대 미술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르멘의 회화는 정밀한 색채 구성과 섬세한 붓 터치로 특징지어지며, 풍경화뿐만 아니라 인물화, 정물화에서도 뛰어난 예술적 감각을 드러낸다. 그는 파리와 브뤼셀 예술계에서 활발히 활.. 2025. 5. 5.
치매 예방과 뇌 건강에 좋은 참당귀 참당귀는 우리나라의 고랭지 환경에 적합한 약용작물로, 서늘하고 습윤한 기후를 선호한다. 해발 300~700m의 고지대에서 잘 자라며, 배수가 잘되고 유기질이 풍부한 사질양토가 가장 적합한 토양 조건이다. 일반적으로 관행적인 노지 육묘 이식법이 뿌리 생육과 수확량에 유리하지만, 플러그묘를 이용한 이식법은 노동력 절감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참당귀 뿌리에는 데쿠르신(decursin)과 데쿠르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등의 쿠마린계 성분이 풍부하다. 이들은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을 가지며, 혈액순환 개선과 면역력 증진, 여성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는 보혈약으로서 월경통, 빈혈, 피로 회복 등에 널리 활용돼 왔다. 특히 데쿠르신 성분은 뇌신경세포.. 2025. 5. 4.
카미유 피사로 <목초지의 사과나무, 에라니> 창문을 통해 나무의 푸르름을 보며 행복을 느꼈다. 카미유 피사로의 를 보면서도 기분이 좋아진다. 행복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인상주의 및 후기 인상주의 화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자연과 일상의 풍경을 주제로 삼아 사실성과 서정성이 조화를 이루는 작품을 다수 남겼다. 피사로는 인상주의 운동의 창립 멤버 중 하나로, 클로드 모네, 오귀스트 르누아르 등과 함께 전시회에 참여하며 새로운 화풍을 선도하였다. 또한 그는 후배 작가들에게 예술적 조언을 아끼지 않으며, 폴 세잔과 폴 고갱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상업적 성공보다는 예술적 진정성을 추구했던 그는 생애를 통해 꾸준히 자연 속 삶의 진실을 화폭에 담고자 노력하였다.는 피사.. 2025. 5. 3.